일본유학7 EJU 수학 공부 방법 *이 글은 필자가 입시를 했던 2019년 정보를 기준으로 2020년에 네이버 블로그에 써두었던 글에 약간의 업데이트를 한 것이다. 최신의 정보가 궁금하신분은 직접 대학교나 한일협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보시길.. 갑자기 난데없이 웬 성적표냐 하면, 이번 포스팅에선 필자가 EJU를 준비하면서 얻은 요령이나 공부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볼 건데 마지막에 "저는 이러이러한~~ 방법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수학 140점이었어요ㅋ" 이러면 좀 그러니까; 처음부터 EJU를 성적표를 까고 나름 준수한(사실 잘 보긴 했음) 성적을 거두었으니 믿을만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우선 일본 입시를 시작했을 당시 필자의 상태를 설명해 보자면, 일본 입시를 시작하기 전 확통, 미적2는 두 번 정도, 기벡은 한 번 정도 이미 .. 2024. 4. 1. EJU 화학 공부 방법 *이 글은 필자가 입시를 했던 2019년 정보를 기준으로 2020년에 네이버 블로그에 써두었던 글에 약간의 업데이트를 한 것이다. 최신의 정보가 궁금하신분은 직접 대학교나 한일협회 홈페이지에 들어가보시길.. 갑자기 난데없이 웬 성적표냐 하면, 이번 포스팅에선 필자가 EJU를 준비하면서 얻은 요령이나 공부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볼 건데 마지막에 "저는 이러이러한~~ 방법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수학 140점이었어요ㅋ" 이러면 좀 그러니까; 처음부터 EJU를 성적표를 까고 나름 준수한(사실 잘 보긴 했음) 성적을 거두었으니 믿을만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벌써 2년 전이지만 필자도 고3 시절 EJU 공부할 때 이과 과목, 수학에 대해서 가장 고민을 많이 했던 것 같다. 또 일본 이과 입시에 대한 .. 2024. 3. 25. EJU 일본어 공부 방법 갑자기 난데없이 웬 성적표냐 하면 이번 포스팅에선 필자가 EJU를 준비하면서 얻은 요령이나 공부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보려고 하는데 마지막에 "저는 이러이러한~~ 방법으로 공부를 했습니다. 그런데 저는 수학 140점이었어요" 이러면 좀 그러니까; 처음부터 EJU를 성적표를 까고 나름 준수한(사실 잘 보긴 했음) 성적을 거두었으니 믿을만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0. EJU 일본어 EJU 일본어에 대한 소개는 일본 유학 준비과정 포스팅에서도 언급했지만 간략하게 말하자면, 전체적인 난이도는 JLPT 1.5급. 독해에서 문법은 N2를 베이스로 하지만 단어는 N1 단어도 많이 나옴. 청해, 청독해도 2급과 1급 사이지만 EJU청독해에 나오는 자료(표, 그래프, 그림 등)가 다소 까다롭다 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2024. 3. 24. 일본 유학 준비 과정 *이 글은 필자가 입시를 했던 2019년 정보를 바탕으로 2020년에 작성한 네이버 블로그 글을 복붙한 것이기 때문에 학교별 정확한 정보는 일본어로 구글링 해보시길.. 모든 대학입시가 그렇듯 일본 대학을 진학하기 위해서 꽤나 많은 준비가 필요하다. 그리고 문과와 이과의 차이가 꽤 있어서 공부 방법이나 준비해야 할 것이 많이 다르다. 필자가 이과인 관계로 이과를 중심으로 쓰겠지만 같은 학교에서 게이오 상학과를 간 친구에게 물어보며 문과에 대한 과정도 써보도록 하겠다. 먼저, 일본 입시를 위해 필요한 것은 1. EJU 2. 본고사 3. 토플(토익) 4. 학교 성적 5.(모의고사) 대충 이 정도가 떠오르는데 하나씩 살펴보자. - EJU(Examination for Japanese University) 이게 뭐.. 2024. 3. 24. 문부성 국가장학생(학부연구생) *이 글은 필자가 입시를 했던 2019년 기준이며 2020년에 네이버 블로그에 써두었던 내용을 복붙한 것이기 때문에 현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문부성 장학생에 대해 궁금한 점은 직접 대사관 홈페이지에 가서 찾아보시길.. 사실 EJU 외에도 일본 유학을 가는 길을 많다. 뭐 외고 애들 중에 영어 성적만으로 사립 대학교에 입학하는 시스템도 있다고 하는데 그쪽은 잘 모르겠고, 필자가 직접 경험해 본 것은 문부성 국가장학생이라는 제도로 이것에 대해서 소개해 보겠다. 공대 국비(한일 이공계 학부 유학생) 공대 국비는 일본에 크게 관심이 없어도 한 번쯤은 들어 봤을 수도 있다. 정식 명칭은 한일 이공계 학부 유학생이다. 1998년부터 시행되어서 내가 원서 쓰는 해(2019년)부터 폐지되었다. 그리고 대신해서 .. 2024. 3. 23. 일본 의대,치대,약대의 현실 우리나라에는 의치한약수라는 학교 간의 서열을 뛰어넘는 월교(越校)의 최상위 학과가 있다. 물론 의대 안에서도, 치대 안에서도 서열은 있으나 어느 학교건 위의 5개의 학과는 높게 처 주는게 사실이다. 그러면 우리나라와 비슷한 대학 시스템을 가진 일본도 과연 비슷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의대를 제외하면 아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한일 양국의 메디컬 관련 학과를 비교해볼 것인데 한국 대학의 입결과 이미지는 필자보다 이걸 읽고 있는 독자분들이 더 잘 알 것이다. 조금씩 오류가 있더라도 너그러이 봐주시길. 또한 일본 쪽은 현재 일본에서 의학부에 재학중인 친구에게 자문을 구해가며 글을 써보도록 하겠다. 전문성이라곤 1도 없는 일개 대학생이 끄적인 글이니 이걸 보고 궁금한게 생기면 직접 구글에 검색해보길 바란다. 0. .. 2024. 3. 23. 내가 일본으로 유학을 가게 된 이유 "왜 일본으로 유학을 오게 됐나요?" 대학 면접 때마다 면접관들이 물어본 질문이다. 그때는 합격이 목표였으니까 일본의 기초과학은 어쩌구 저쩌구... 한국의 과학기술의 시작은 일본으로부터... 등으로 뻥쳤던 기억이 있다. 솔직하게 말하자면 나 또한 도피성 유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때는 2017년 고등학교 1학년을 마친 내 심정은 착잡했다. 중3 겨울방학 때 인생에서 가장 열심히 공부를 하고 고등학교 1학년 1학기 성적표를 받고는 원하는 학과에 들어갈 수 있겠다는 착각에 빠졌었다. 나름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고 이대로라면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으나, 2학기 중간고사 때 성적이 조금 떨어지더니 기말고사를 말아먹고 결국에는 2점대로 떨어지고 말았다. 그렇게 나쁜 성적은 아니었지만, 당시 성적이 떨어진 것에 .. 2022. 2. 21. 이전 1 다음